CES 2023에서 무슨 이야기를 했을까?(1) : 메타버스에 필수, ‘0000’?
2023-02-06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테크 이벤트! 초대형 ICT 융합 전시회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3이 1월 5일에서 1월 8일 3일간 개최되었습니다. 금번 CES는 코로나 이후 움츠러들었던 오프라인 전시회의 부활을 알리려는 듯 불과 3일 만에 11만 5,000여 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CES의 명성이 건재함을 보여줬습니다. 170여 개 국가의 3,000개 이상의 기업이 CES에 참여했으며 행사에 등록한 미디어 수만 4,800개 이상에 22만 1천 건 이상의 기사가 발행되었다고 하니 과연 세계 최대 규모의 테크 이벤트라는 점이 실감 났습니다.
이름만 들으면 아는 전 세계 테크 공룡 브랜드뿐만 아니라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무장한 스타트업의 참여도 눈에 띄었습니다. 흥미롭게도 한국에서만 550개 기업이 참여했는데 이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라고 합니다.
CES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지 둘러보던 중 SPH의 파트너 Maxar의 참여가 눈에 띄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Maxar는 우주 기술 및 위성 정보 분야를 선도하는 명실상부 글로벌 No.1 기업입니다. 전 세계 위성 이미지 판매 1위이자 미 정부 상업적 지리 정보의 90%를 담당하고 있는 Maxar, 더 깊게 설명하지 않아도 신뢰가 가지 않나요? 😎 그런 Maxar의 SVP(Senior Vice President) Dan Nord가 CES 2023중 ‘메타버스가 비즈니스 및 소비자에게 끼치는 영향(How the metaverse will impact different businesses and consumers)’이라는 주제의 토론에 패널로 참여하였습니다.
게임, 취미에서 커리어가 되다
메타버스하면 떠오르는 키워드가 있죠. 네, 바로 게임입니다. SPH 블로그에서도 GIS 툴을 활용한 게임 메타버스를 주제로 한 포스팅을 소개해 드린 적 있습니다. ‘게임’은 현대사회로 넘어오며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한 산업 중 하나로, 이제는 전 세계 30억 명(!)🤯이 즐기고 있는 주류문화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에서 자란 Dan Nord 역시 어려서부터 비디오 게임과 가상 공간에 매료된 이들 중 하나였습니다. Dan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스타트업에서 10여 년간 개발자로서 활약합니다. 이후 스탠포드 대학에서 MBA를 수료한 뒤 비디오 게임 비즈니스 분야로 커리어를 전향하고 심즈나 FIFA로 잘 알려진 EA(Electronic Arts) 및 Amazon Games Studios에 근무합니다.
Dan은 오늘날의 게임사는 거대한 ‘지구 사이즈’의 게임 세상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게임 산업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비즈니스를 구성하고 엔터테인먼트를 즐기는지를 바꿔버렸으며 나아가 향후 지구를 지속하는 방법과 같은 주요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산업, 2D에서 3D로 확장하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비디오 게임, 그리고 전 세계의 위성 이미지의 융합은 2D 이미지에서 3D 이미지로의 전환을 가능케 했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에게 익숙한 평평한 화면 속 인터넷이 360도 디지털 세상으로 전환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뜻인데요😎. 앞으로 우리가 디지털 세상에서 무언가를 배우거나, 쇼핑하거나, 연습하거나, 일하거나, 만나는 모든 경험이 새로워지지 않을까요?
현실세계같이 ‘실감나는 메타버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현실과 3D 버전의 세상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매칭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방대한 양의 정확한 최신 데이터는 필수!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스가 바로 Maxar의 위성 이미지입니다. Maxar의 위성 이미지 소스를 AI/ML이 분석하여 3D 포인트를 잡고 가상공간의 레이어를 만들고 이를 하나씩 쌓아가며 ‘디지털트윈’을 구현한다는 것인데요, 앞으로 ‘디지털트윈’은 게임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환경단체의 의사 결정, 정치적 이슈,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의 시뮬레이션에 도입될 것입니다.
Maxar의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만든 Blackshark.ai의 뉴욕 브루클린 3D 이미지
메타버스에 필수조건, 바로 ‘위성 사진’?
Dan Nord는 일전에도 Epic Games가 주최한 ‘UNREAL FEST’에서 ‘게임’과 ‘공간’이라는 주제에 대해 열띤 강연을 펼친 바 있습니다. ‘UNREAL FEST’에서 Dan은 블랙샤크(우리에게 잘 알려진 샤오미 기반의 게이밍 기기 전문회사)의 CEO Michael Putz와 함께한 발표에서 위성 이미지 소스야말로 다가올 메타버스 세계 구축에 필수인 요소임을 피력했습니다.
Maxar는 생생하고 방대한 양의 위성 이미지 데이터(무려 125페타바이트!)를 토대로 Blackshark.ai와 같이 다양한 맵핑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Dan과 Michael은 AI를 이용하여 2D 이미지를 3D로 시각화하여 만든 미러링 세상을 엔터테인먼트, 여행, 교육, 도시 계획, 건축,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재난 상황에서의 군대 훈련, 비행기 조종 훈련과 같은 군사 분야 및 영화나 드라마 촬영 시 따로 세트장을 제작하지 않고도 다양한 배경을 쓸 수 있습니다.
“The actual metaverse – the ability to work together, talk together and play together in a 3D environment – that’s here to stay.” - Maxar’s Dan Nord from CES 2023.
오늘 포스팅의 마지막으로 Dan이 CES 2023에서 남긴 메시지를 전해드립니다.
날로 커져만 가는 메타버스의 위상, 더 이상 머나먼 미래의 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앞으로 Maxar의 위성 영상을 활용한 실감 나는 메타버스 세계를 체험할 날이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메타버스를 포함한 공간분석 관련 컨설팅은 SPH에게로! GIS 관련 질문 혹은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으면 언제든 저희 SPH를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PH는 Google Maps, SuperMap, Maxar Technologies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사례에 꼭 맞는 무료 세미나 및 인적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으시다면, 여기에서 문의 주시길 바라며, SPH에서 발행하는 GIS / 로케이션인텔리전스 관련 최신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