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I/O 2015로 알아보는 Google Maps 트랜드
2015.07.08 (수) 14:00 – 17:00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2015.07.08 (수) 14:00 – 17:00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Q: 한국에서 구글 경로탐색 서비스는 언제쯤 가능할까요?
A: 현재 정해진 일정은 없으나, 해외 지도데이터 반출 규제 이슈가 해결되는대로 바로 정식 서비스가 될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Q: Fused Location API로 코드가 줄어든 건 알겠는데 위치 정확도가 향상된 건 어떤 원리에서인가요? GPS, WIFI, Network 방식을 자동으로 선별해주나요?
A: GPS, Wi-Fi, Network에 대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가장 정확도가 높은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반환합니다.
Q: Play service의 location/autocomplete기능이 기존의 웹에서 javascript를 이용해서 구현가능했던 location/autocomplete에 비해 기능적인 면에서 더 뛰어난 특장점이 있을까요?
A: Javascript에서 제공하는 있는 Autocomplete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능적으로 뛰어나다기 보다는 제공하는 플랫폼에 최적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Q: Road API를 이용하기 위해선 SPH사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탑재해서 사용해야 하나요?
A: Road API는 개발을 위해 라이브러리 및 데이터를 제공해드리는 것이 아니라, Google Maps API처럼 웹 서비스를 통해 API를 제공합니다.
Q: Location API에서 GPS 사용으로 배터리 소모량이 얼마나 줄었나요? 정량적으로 얼마나 효율이 좋아졌는지 궁금합니다.
A: 기존에 대비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찾지 못하였고 request location update에 LocationRequest를 이용하여 측위를 할 때 결정하는 우선순에 따라 소비되는 배터리의 양을 소개하였습니다.
Q: Directions API에서 드라이빙 모드가 국내에서는 안되는데 SPH가 별도로 지원을 해주는 게 있나요?
A: 현재 Directions API는 국내에서 제공되지 않으며, 별도 지원이 어려운 부분입니다.
Q: Road API의 snap to road 기능을 SPH에서 직접 개발했다고 들었습니다. 도로에 붙이기 위해서는 도로 네트워크 정보가 필요할텐데 국내 도로를 전부 커버할 수 있나요? 정확한 API 제공을 위해서는 도로네트워크의 최신화가 중요한데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A: 도로 네트워크 구축은 전국(남한지역) 새주소의 도로 데이터에서 중심선을 추출하여 Road API를 구축하였으며,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는 1년 단위로 갱신예정입니다.
Q: Distance Matrix API는 실시간 교통정보가 반영된 결과를 제공하나요?
A: Distance Matrix 및 Directions API가 제공되는 지역은 도로속도제한 및 실시간 교통정보가 반영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Q: Distance Matrix API에서 소요비용(시간)은 도로속도제한을 참고해 제공하는 건가요? 아니면 실시간 교통정보도 반영할 수 있나요?
A: Distance Matrix 및 Directions API가 제공되는 지역은 도로속도제한 및 실시간 교통정보가 반영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Q: 구글지도에서 Geocoding 서비스를 이용하면 새 주소와 구 주소가 혼용되어 나옵니다. 새 주소와 구 주소 중 개발자가 원하는 것으로 받아볼 수 있을까요?
A: Web service 결과는 구 주소와 새 주소를 모두 제공합니다. 하지만 선택적으로 반환되지는 않습니다.
Q: 머지 않아 웹지도 역시 3D로 구축되리라 보는데 SPH는 3D POI에 대한 계획이 있나요?
A: Google Earth에서 제공하는 3D 모델을 제공합니다. 구글과 사용자들에 의해 수시로 업데이트 됩니다.
Q: 실내지도의 POI에 대한 계획이 있나요?
A: 국내 실내지도에 대한 서비스 계획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작성한 지도를 올릴 수 있는 기능은 있습니다.
Q: Fused Location API는 마지막 접속 장소, 네트워크, GPS, wifi 등을 통해 자동으로 연산해서 사용자의 현 위치를 반환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각 요소들의 반영여부나 가중치 등을 조정할 수 있나요?
A: 기존의 LocationManager 처럼 getLastLocation()에는 측위에 사용되는 Provider를 설정할 수 있는 가중치나 옵션은 없습니다.
주기적으로 위치를 측위할때 requestLocationUpdate()에서 입력파라미터 중에 LocationRequest라는 클래스에는 setPriority()를 통해 우선순위를 줄수 있는데, 이 우선순위의 설정 값에 따라 각 Provider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특정 요소로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됩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 사이트(http://developer.android.com/training/location/receive-location-updates.html)를 참고 부탁드립니다.
Q: SPH에서 도로 정보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도 주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나요? 그렇다면 갱신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A: SPH에서는 국내 구글지도 엔터프라이즈 고객에게 Road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년을 주기로 갱신 예정입니다.
Q: SPH에서 제공하는 자체 Snap to Road API에서 받는 값과 제공하는 데이터의 구체적인 정보가 궁금합니다.
A: Road API로 전달하는 파라미터는 GPS 경위도 좌표들의 배열을 JSON 데이터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은 경로 라인에 대한 GeoJSON(거리 길이 포함)입니다.
Q: Distance Matrix API에서 소요시간 정보를 보여줄 때 항공의 경우 실제 비행시간 기준으로 제공되나요? LBS는 위성모드도 제공되나요?
A: 항공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Q: Road API 기능 중 GPS Tracking는 구글지도의 도로에 맞춰져있습니다. 베이스맵을 구글지도가 아닌 수치지도나 shape 등 다른 맵 배경으로도 변경가능한가요?
A: Road API는 Google Maps 고객에게만 제공할 예정입니다. 단, 해당 공간 위치 좌표는 경위도 WGS 84 좌표체계이기 때문에 해당 좌표를 받아 다른 배경지도에서도 활용은 가능합니다.
Q: Geocoding API를 포함해서 Google Maps API의 key별 일일 사용가능 개수 제한은 어떻게 되나요?
A: Geocoding 2500/1일 , 10QPS(Query per second) 입니다.
Q: Road API의 거리 및 도로등급 등 Tolerance는 어떻게 되나요?
A: Roads API는 Tolerance 개념이 아닌 노드 점데이터 기반 제일 가까운 노드에 snap되어 표출됩니다.
또한 이동한 경로에 대한 거리는 반환되며, 도로 등급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Q: Elevation API에서 고도는 어떤 기준면으로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지오이드 기준으로 알려주는건가요?
A: Elevation API는 해수면 기준으로 DEM 데이터를 통해 고도값을 제공합니다.
Q: Offline Google에서 지도가 저장된다고 하셨는데 맵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되며, 공간은 얼마나 차지하나요?
A: 스마트폰에 저장되며, 저장하는 지역의 범위에 따라 차지하는 공간은 다릅니다.
Q: 한국은 도로네트워크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데 Directions API, Distance Matrix API가 사용 가능한가요?
A: 국내에서 Directions API는 대중교통에 한해서 제공되며, Distance Matrix API 현재 국내에서 사용이 불가합니다.
Q: 슬라이드 화면 하단에 있는 무늬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A: Google I/O 행사 로고입니다.
Q: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활용한 API도 있나요?
A: Google Maps API에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Q: 서비스에서 타인의 위치를 구글 서비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나요?
A: 위치정보 관련 규제와 정책 범위 내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Q: GPS가 튀는 경우(심하면 매우 멀리까지도)가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에 대한 대비가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A: Pre-processing을 통해서 오류를 제거하셔야 합니다.
Q: 자체 서버에서 구글 서비스를 통해 위치 정보를 장시간 수집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A: Terms of Service 정책에 위배되기 때문에 불가합니다. Place ID값은 저장 가능합니다.
Q: 지오펜싱 반경 지정에서 원 외에 폴리곤으로도 설정 가능한가요?
A: Geofence API에서는 원의 반경설정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Geofence.Builder의 setCircularRegion)
Q: 구글의 Reverse geocoding을 사용하여 주소를 얻고자 합니다. 최근 지방의 지역통합으로 추가 혹은 삭제된 지명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기존 연기군이 세종특별시로 변경되었지만 결과는 연기군으로 내려옵니다. 구글맵 상에는 세종특별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언제쯤 업데이트되나요?
A: 구글의 업데이트 정책에 따르고 있으며, 분기별로 업데이트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Q: Snap to road 커버 오차 범위가 어느 정도인가요?
A: Tolorance 개념이 아닌 노드 점데이터 기반 제일 가까운 노드에 snap되어 표출됩니다.
Q: 국내 도보정보 Directions API는 언제쯤 가능할까요?
A: 현재 정해진 일정은 없으나, 해외 지도데이터 반출 규제 이슈가 해결되는대로 바로 정식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Q: 구글지도의 국내 지역명을 중국어로 서비스하고 싶은데 이 부분에 대한 계획은 있나요?
A: 중국어 언어 코드는 “zh-CN” 입니다. Google Maps에서 지원하는 언어 코드 리스트는 다음 URL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maps/faq#languagesupport)
Q: Place API등을 사용하여 Place ID에 POI정보를 가져올 수 있을텐데 이 정보에 바운더리 같은 POI의 영역정보가 있는지, 없다면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Place API의 영역정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Q: LastKnowLocation을 사용한 경우, 값이 없거나 현재 위치가 아닌 이전 위치를 가져오기 때문에 현재위치로 이용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나요?
A: Fused Location Provider에서 requestLocationUpdate()와 removeLocationUpdate()를 이용해서 한번만 위치를 측위할건지 주기적으로 측위를 할 것인지를 구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LastKnowLocation를 사용하지않고 LocationUpdate를 이용하면 현재 위치를 가져올 수 있으나 3~4초 정도 딜레이가 걸립니다. 빠르게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Fused Location Provider에서 requestLocationUpdate()와 removeLocationUpdate()를 이용해서 한번만 위치를 측위할건지 주기적으로 측위를 할 것인지를 구현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requestLocationUpdate에 LocationRequest Class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고 질문주신 빠르게 대해서는 setInterval()와 setFastestInterval()의 설정을 통해 조금은 빠르게 위치정보를 반환받으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안드로이드 개발자 문서에서 자세히 소개되고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Q: Road API를 한국에서 사용하려면 엔터프라이즈를 신청해야 하는데 그렇다면 엔터프라이즈는 그밖에 다른 어떤 혜택이 있으며 그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A: SPH 영업팀 혹은 help@sphinfo.co.kr로 문의부탁드립니다.
Q: API 중 POI 정보를 검색해서 활용할 수 있는 API가 있는데, 이 POI의 경우 어디서 수급하나요? 그 정확도와 상세정보의 보유 수준도 궁금합니다.
A: Google Maps의 POI는 자체구축, 파트너사, 사용자에 의해서 업데이트됩니다. 전세계적으로 약 1억 개 이상의 POI를 제공합니다. 국내의 경우, 정확도와 상세정보 보유 수준은 국내 포털 지도와 유사합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신가요? 이메일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